자격증/정보처리기사 필기(메타코드M)

[정보처리기사 필기] 메타코드M 강의 후기_(3강)

김뚱입니다 2024. 12. 16. 23:06

메타코드M 정보처리기사 필기 환급 챌린지 강의

 

정보처리기사 필기 환급 챌린지ㅣ합격 인증 시 100% 환급 (제세공과금 22% 제외)

 

metacodes.co.kr

메타코드M 정보처리기사 필기 합격 올인원 강의

 

[40% 최대 할인 / 25.01.06까지] 2025 정보처리기사 필기 합격 올인원ㅣ기출문제 풀이 포함

 

metacodes.co.kr

 

 

이번주에는 정보처리기사 필기 강의 3강을 수강했다.

절차형 SQL 작성인데, SQL 부분은 학부생 때 찍먹한 적이 있지만....

솔직히 너무 오래되어서 기억이 나지 않았다 ㅎㅎ

데이터베이스? 라는 이름의 강의를 수강했던 것 같은데

복수전공으로 수강했고, 결과는 좋은 성적을 내지 못했다...

소프트웨어 전공자들 사이에서 살아남기에는 가혹했던 현실 ㅎㅎ;

 

 

정처기 필기 3과목 데이터베이스 구축 강의  자료인데, 이런 순서로 진행된다.

SQLD 자격증을 공부한 사람들은 뭔지 알고 있을 테지만, 모르는 사람이 있을 수 있으니 가볍게 설명하자면

SQL은 Structured Query Language로 데이터베이스와 대화하는 언어라고 생각하면 된다.

데이터베이스 안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들을 검색, 추가, 수정, 삭제하는 등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도구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물론, SQL이 뭔지 모르는 비전공자도 해당 과목 문제를 풀 수 있게끔

강사님이 친절하게 설명해 주시니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어 보인다!

 

3과목 강의자료 분량도 꽤나 되는 편이고, 무엇이 중요한 부분인지 감이 잡히지 않으므로

이번에도 내가 나름대로 이런 내용은 시험으로 출제되지 않을까? 하는 부분들을 정리해보려 한다.

 

객관식 문제로 시험이 출제되고, 선택지가 4개이기 때문에 출제하기 좋은 부분이다.

트랜잭션의 특징 중 ~~~ 인 것은? 하고 선택하는 문제가 출제될 것 같다.

예를 들면 트랜잭션의 특징 중 트랜잭션이 완료되면 그 후에 결과가 시스템이 고장이 나더라도

트랜잭션의 결과는 잃어버리지 않고 영구적으로 지속되는 것은?

정답 : Durability 지속성 이 되겠다.

 

 

로킹 단위라는 걸 처음 들어봐서 가져와봤다.

로킹이라는 건 데이터 항목에 대해 잠금을 설정하여 트랜잭션 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기법이다.

위 사진처럼 특징들이 있는데, 내가 모르는 부분이라 기억에 남기고자 예상문제를 만들어보려 한다.

다음 중 로킹 단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or 옳지 않은 것을 묻는 문제가 출제될 것 같고

로킹 단위가 될 수 있음 = 데이터베이스, 파일, 레코드 등

로킹 단위가 크면 병행성 수준이 낮아짐

로킹 단위가 작으면 로킹 오버헤드와 데이터베이스 공유도 증가

이렇게만 기억하면 헷갈리지 않을 것 같다.

 

 

릴레이션은 행(튜플)과 열(애트리뷰트)로 구성된 테이블을 말하는데

강의 자료에 릴레이션, 릴레이션의 특징, 튜플, 애트리뷰트에 대한 설명이 있다.

여러 장이라서 다 첨부하기에는 무리이고, 내가 말하고 싶은 건 사진과 같은 릴레이션이 주어지고

카디널리티와 차수를 물어보는 문제가 출제될 것 같다.

참고로 차수는 Degree, 카디널리티는 말 그대로 Cardinality이다.

행열이 뭔지 안다면 문제없이 풀 수 있는 부분이다.

 

 

이 부분도 나에게는 생소한 부분이라 가져와봤다.

사실 정처기 필기 3과목 내용 자체가 생소하긴 하다.... 하지만 이것도 모르겠는데요?!

아니 이것도 새로운데!! 하고 다 가져오면 글이 몇천 자가 될지도 ㅠㅠ

아무튼, 강의 자료를 보면 개체-사각형, 속성-타원형, 다중값 속성-이중 타원, 관계-마름모, 관계-속성 연결-선

각각 다른 모형으로 표기한다고 보면 된다.

내가 출제자라면 아마 E-R 표현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하는 문제로

낚시하는 문제를 낼 것 같다. 왜냐면 나도 헷갈리니까....

 

 

오늘은 메타코드 M에서 정보처리기사 필기 강의 3과목을 수강하고 정리해 보았다.

처음에는 의기양양하게 공부를 시작했지만, 갈수록 방대한 내용에 자신감을 잃어간다 ㅎㅎ...

하지만 N회독을 한다면 시험 합격할 정도는 암기할 수 있지 않을까?!

기억력이 좋은 편이 아니라면 시간을 쏟아서 암기를 하면 된다.

 

정처기 필기 3과목까지 공부하고 확실히 느낀 점은

노베이스 비전공자라면 단기간으로 공부해서 합격하는 것?

정말 쉽지 않을 것 같다... 물론 기존에 공부를 많이 해봤고 잘했던 사람들은

이해 + 암기 부분에서 시간을 많이 잡아먹지 않을 수 있지만

나같이 에엥 이게 무슨 소리인가요..? 하는 멍충멍충 고라파덕 같은 타입은

그냥 강의 사서 듣는 게 맘 편할 것 같다.

 

다음 글은 4과목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으로 작성할 예정이다.

정보처리기사 필기 공부하시는 분들 모두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