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베이스 데이터 파트타임 스쿨 학습 일지 [25.06.13]

[강의 요약]

[Part 06. Git_ Ch 09. Tag] 강의 수강

클립 전체 수강

🐢 100일 챌린지 🔥 : [▰▰▰▰▰▰▰▰▰▰▰▰▰▰▰▰▰▰▰▰▰▰▰▰▰▰▰▰▰▰▰▰▰▰▰▰▰▰▰▰▰▰▰▰░                      ] 89/100일 (89%)

 

 

 

[실습 환경]

▶ 원격 저장소 복제

git clone https://github.com/zerobasegit/tag_project.git
cd tag_project
  • git clone 명령으로 GitHub 원격 저장소 복제
  • tag_project 폴더가 생성되고 작업 디렉토리로 이동

 

 

▶ 커밋 3개 생성

cat > hello.txt
hello, world.
git add hello.txt
git commit -m "commit1" hello.txt
cat > hello.txt
hello, noma.
git commit -m "commit2" hello.txt
cat > hello.txt
hello, zerobase.
git commit -m "commit3" hello.txt
  • cat > 파일명 명령어로 파일 내용 입력
  • 각각의 변경 내용에 대해 커밋을 3회 수행 (commit1, commit2, commit3)

 

▶ 원격 저장소에 Push

git push origin main
  • 로컬에서 만든 커밋들을 원격 저장소에 반영

 

 

 

[Git Tag]

▶Git Tag란?

태그는 특정 커밋에 라벨을 붙여서 나중에 쉽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한다.

 

 

 

[Git Tag 실습]

▶ 현재 커밋에 태그 달기

git tag v0.3
  • 현재 위치한 커밋 (HEAD)에 v0.3이라는 태그 생성

 

▶ 확인

git log
commit 56018a5 (HEAD -> main, tag: v0.3, origin/main)
  • 로그 상에서 tag: v0.3 확인 가능

 

특정 커밋에 태그 달기

git tag v0.2 18b2e87
  • 커밋 해시값을 직접 지정하여 v0.2 태그 생성

 

▶ 확인

git log
commit 18b2e87 (tag: v0.2)
  • commit2에도 태그가 부여된 것 확인

 

 

 

[태그 푸시 (Remote로 전송)]

git push origin v0.3
  • 개별 태그를 원격 저장소로 푸시

 

 

 

[태그 조회 및 상세 정보 확인]

▶ 태그 목록 보기

git tag

출력 예시는 다음과 같다.

v0.2
v0.3

 

▶ 특정 태그 상세 정보 보기

git show v0.2

출력 예시는 다음과 같다.

commit 18b2e87 (tag: v0.2)
Author: zerobasegit
commit2

--- a/hello.txt
+++ b/hello.txt
-hello, world.
+hello, noma.

 

 

 

[Git Tag 삭제]

▶ 로컬 태그 삭제

git tag --delete v0.3

출력 결과는 다음과 같다.

Deleted tag 'v0.3' (was 56018a5)

 

▶ 원격 태그 삭제

git push --delete origin v0.3

출력 결과는 다음과 같다.

- [deleted] v0.3

 

 

 

 

[나의 생각 정리]

Git Tag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1. 로컬 커밋 생성
  2. 커밋마다 의미 있는 태그 부여
  3. 필요시 태그를 원격으로 푸시
  4. 태그 확인 및 삭제 관리 가능

버전 릴리스의 마일스톤 관리에 유용하다고 하는데, 나는 실제 서비스를 배포하고 관리해 본 경험이 없어서... ㅎ

 

 

 

[적용점]

릴리즈 노트

배포 관리

 

 

“이 글은 제로베이스 데이터 스쿨 주 3일반 강의 자료 일부를 발췌하여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