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요약]
[Ch 01. 파이썬 기초] 강의 수강
- 파이썬 특징
- 무한 정수 처리 가능
- 문법 구조 쉬움
- 다양하고 뛰어난 모듈 지원
- 컴파일러
- 소스파일 --(컴파일)→ 기계어 --(PC에서 실행)→ output 출력
- 작성한 코드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변환
- 컴파일 언어는 소스 전체를 실행 파일로 만든 후 기계에서 실행함 → 번역과 같음(c/c++, java)
- 인터프린터
- 소스파일 --(PC에서 실행)→ output 출력
- 컴파일러와 달리 실행 파일을 만들지 않고 실행이 필요할 때 기계어로 변환
- 인터프린터 언어는 필요한 소스 코드만 그때그때 실행 → 동시통역과 같음 (python)
- 데이터와 메모리 그리고 출력
- 우리가 입력하는 건? → 메모리에 저장
-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의 특정 공간? → 변수
-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 →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 (PC에서) 실행
- 변수
-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특정 공간
- 변수명을 붙여서 사용
- 변수 정의할 때 '초기화' 필수
- 데이터를 재사용하기 위해 사용
- 효율적인 프로그램 관리를 위해 사용
- 변수 작명법
- 변수에 들어가 있는 데이터에 의미를 쉽게 알 수 있게 작명하는 게 이상적이고 좋음
- 그래야 변수명을 보고 무슨 데이터가 들어있는지 직관적으로 알 수 있기 때문!
- 변수 작명 시 규칙_권장 부분
- 영문 사용 (권장)
- 첫 번째는 소문자로하는 것이 통상적인 관례
- class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해야 하므로 변수명과 겹쳐서 혼동을 막기 위함
- 데이터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명사 사용
- 카멜 표기법 or 스네이크 표기법 사용 (웬만하면 하나로 통일해서 사용. 카멜 추천)
- 변수 작명시 규칙_금지 부분
- 한글 변수명으로 쓴다면 프로그램 전체상으로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권장하지 않음
- 예약어(파이썬에서 이미 예약된 단어) 사용 금지
- 특수문자 사용 금지(언더바(_)는 예외로 사용 가능)
- 공백문자 사용 금지 (ex. my Address)
- 숫자는 사용해도 되지만 첫 번째 사용 금지 (ex. 1myAddress)
# 가급적 데이터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명사 사용
myWeight = 80
print(myWeight)
# 카멜 표기법
customerBankAccount = '123-456-7890'
# 스네이크 표기법
customer_bank_account = '123-456-7890'
# 이렇게 쓰면 곤란함. 코드 판독하기 어려워지므로
customerbankaccount = '123-456-7890'
- 자료형(Data type)
- 효율적인 메모리 사용을 위해서 데이터를 정수형, 실수형, 문자(열)형, 논리형으로 구분한 것
- 파이썬은 데이터를 넣으면 알잘딱으로 알아먹으니까 데이터 타입 명시하지 않음 (오히려 명시하면 에러뜸)
- 정수(int), 실수(float), 문자(열)(str), 논리형(bool) 크게 4가지의 데이터 타입이 있음
- 자료형 변환(문자, 숫자)
- 데이터 타입을 변환하는 것. 파이썬에서 제공하는 함수를 이용
- type casting
- 정수, 실수, 논리형 → 문자(열)로 형변환 하려면?
- str 함수 사용
- num = 77
- num = str(num)
- 문자(열), 논리형 → 정수형 변환
- int 함수 사용
- var = '77' or var = True 인 경우
- var = int(var) 하면 된다
- 문자(열), 논리형 → 실수형 변환
- float 함수 사용
- var = '7.7' or var = True 인 경우
- var = int(var) 하면 된다.
- 자료형 변환(그 외 데이터)
- 빈 문자와 공백문자의 차이점은?
- 눈으로 보기에는 차이가 없어 보인다.
- 빈문자 → 데이터 없음
- 공백 문자 → 공백 데이터 있음
- 빈 문자 → 논리 데이터
- var = bool(var)
- print(var) # 출력 결과 False
- 공백 문자 → 논리 데이터
- var = bool(var)
- print(var) # 출력 결과 True
- 빈 문자와 공백문자의 차이점은?
- 문자 → 논리형 → 산술연산
- 문자(열) → 논리
# 문자열인 상태
var1 = 'True'
var2 = 'False'
print(type(var1)) # <class 'str'>
print(type(var2)) # <class 'str'>
# 논리형으로 변환
var1 = bool(var1)
var2 = bool(var2)
print(var1) # True
print(var2) # True
print(type(var1)) # <class 'bool'>
print(type(var2)) # <class 'bool'>
# 논리형은 산술연산 가능
print(var1 + var2) # True + True 라서 2
print(type(var1 + var2)) # <class 'int'>
- 데이터 입력
- input() 함수를 이용한 데이터 입력
- input() 함수를 이용해서 입력한 데이터는 항상 문자(열) 자료형이다!
- 따라서 필요에 따라 정수형, 실수형 등 필요한 데이터 타입으로 형 변환 함수를 이용해서 형 변환을 해주면 된다.
userInputData = input('키보드를 통해서 데이터를 입력하세요.') # 야식먹고 싶다.
print(userInputData) # 야식먹고 싶다.
# 형 변환 함수를 이용해서 형 변환을 해줄 수 있다!
userInputData = input('문자형를 입력하세요. ')
print(userInputData)
print(type(userInputData))
userInputData = int(input('정수형를 입력하세요. '))
print(userInputData)
print(type(userInputData))
userInputData = float(input('실수형를 입력하세요. '))
print(userInputData)
print(type(userInputData))
userInputData = bool(input('논리형을 입력하세요. '))
print(userInputData)
print(type(userInputData))
- 데이터 출력
- print() 함수를 이용한 기본적인 데이터 출력할 수 있음
- 콤마(,)를 이용한 데이터 연속 출력 가능
- 포맷 문자열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함!
- 특수문자(자주 사용함)
- \t → 탭
- \n → 개행
userName = '홍길동'
print(userName)
userAge = 20
print(userAge)
print('User name : ', userName)
print('User age : ', userAge)
# 따로 출력할 필요 없이 한줄에 가능함
print('User name : ', userName, ', User age : ', userAge)
# 이렇게도 가능함. 포맷 문자열을 이용한 데이터 출력 (추천하는 방법)
print(f'User name : {userName}')
print(f'User age : {userAge}')
print(f'User name : {userName}, User age : {userAge}')
print(f'User name\t:\t{userName}\nUser age\t:\t{userAge}')
# 추가 팁 : end를 이렇게 써주면 \n (개행)을 안하고 다음 출력까지 한줄에 이쁘게 출력 가능
print('3 * 5 = ', end='')
print(3 * 5)
- format() 함수
- format() 함수를 이용한 데이터 출력
- 어떠한 format을 정해놓고 format() 함수를 이용해서 값을 전달하는 방식
- format() 함수의 인덱스를 이용한 출력
- 순서를 바꾸고 싶으면 {}에서 인덱스를 사용한 {1}, {0} 이런 식으로 가능함
- format() 함수를 이용한 데이터 출력
userName = '홍길동'
print(userName) # 홍길동
userAge = 20
print(userAge) # 20
# format() 함수를 이용한 데이터 출력
print('User name : {}'.format(userName)) # User name : 홍길동
print('User age : {}'.format(userAge)) # User age : 20
print('User name : {}, User age : {}'.format(userName, userAge)) # User name : 홍길동, User age : 20
# format() 함수의 인덱스를 이용한 출력
print('나의 이름은 {}이고, 나이는 {}살 입니다. {} 이름은 아버님께서 지어 주셨습니다.'.format(userName, userAge, userName))
# 출력 결과 : 나의 이름은 홍길동이고, 나이는 20살 입니다. 홍길동 이름은 아버님께서 지어 주셨습니다.
print('나의 이름은 {0}이고, 나이는 {1}살 입니다. {0} 이름은 아버님께서 지어 주셨습니다.'.format(userName, userAge))
# 출력 결과 : 나의 이름은 홍길동이고, 나이는 20살 입니다. 홍길동 이름은 아버님께서 지어 주셨습니다.
- 형식 문자
- 형식 문자를 이용한 데이터 출력
- %s → 문자열
- %d → 정수
- %f → 실수
- 소수점 자릿수 정하기
- %.nf → 소수점 n자리 표현
userName = '홍길동'
userAge = 20
print('User name : %s' % userName) # User name : 홍길동
print('User age : %d' % userAge) # User age : 20
print('User name : %s, User age : %d' % (userName, userAge)) # User name : 홍길동, User age : 20
pi = 3.14
print('Pi : %f' % 3.14) # Pi : 3.140000
print('Pi : %d' % 3.14) # Pi : 3
print('Pi : %.0f' % 3.141592) # Pi : 3
print('Pi : %.2f' % 3.141592) # Pi : 3.14
print('Pi : %.4f' % 3.141592) # Pi : 3.1416
print('Pi : %.6f' % 3.141592) # Pi : 3.141592
[나의 생각 정리]
기존에 알고 있는 내용이었으나 정리하면서 복습할 수 있어서 유익했다.
코딩 공부를 한동안 손 놓고 있었기에 제일 기본이 되는 파이썬 기초 강의를 전부 수강하면
코테문제를 풀어보면서 몸을 풀어야겠다.
[적용점]
파이썬 언어로 작성하는 모든 코드에 기본적인 베이스가 되는 내용이다.
이 내용을 모르고 파이썬으로 코딩한다고 하면 곤란하다.
“이 글은 제로베이스 데이터 스쿨 주 3일반 강의 자료 일부를 발췌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제로베이스 데이터 취업 파트타임 > 100일 챌린지_일일 학습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로베이스 데이터 파트타임 스쿨 학습 일지 [25.03.22] (3) | 2025.03.22 |
---|---|
제로베이스 데이터 파트타임 스쿨 학습 일지 [25.03.21] (0) | 2025.03.21 |
제로베이스 데이터 파트타임 스쿨 학습 일지 [25.03.20] (0) | 2025.03.20 |
제로베이스 데이터 파트타임 스쿨 학습 일지 [25.03.19] (0) | 2025.03.19 |
제로베이스 데이터 파트타임 스쿨 학습 일지 [25.03.18] (0)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