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게 이렇게 많다니심심할 틈이 없는 완전 럭키비키잖아?! [시험 일정 정리]9월 30일 : ADsP 시험 접수(완료)10월 8일 : 토익점수발표10월 12일 : KT AICE Basic 결과 발표10월 13일 : 토익 시험10월 18일 : ADsP 수험표 발급10월 22일 : 토익 점수 발표10월 15~28일 : GIST 원서접수11월 3일 : ADsP 시험일11월 13일 : GIST 서류합격발표11월 18일 : KT AICE ASSOCIATE 시험 접수11월 19~20일 : GIST 구술전형11월 22일 : ADsP 사전점수 공개11월 29일 : ADsP 결과 발표12월 6일 : GIST 합격자 발표(오후 5시)12월 20일 : KT AICE ASSOCIATE 시험1월 3일 : KT AICE ASSOC..
백준 2178번 문제(미로 탐색)를 풀던 중아 이건 내가 아는 방법으로는 코드를 짜는 게 힘들겠다고 느꼈다...임의의 행렬을 내가 입력하면 그게 미로가 되어서1은 이동할 수 있는 칸, 0은 이동불가능한 칸으로 간주 내가 처음 생각한 풀이 방법은N x M 형태의 행렬이므로N, M = map(int, input().split()) # N은 행 M은 열nums = [[0] * M for _ in range(N)]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M): nums[i][j] = int(input())이런 식으로 2차원 리스트로 만들어서 값을 저장한 뒤에조건문과 반복문을 이용해서 (1,1)을 시작점으로 정하고각 행과 열에서 1이 존재하는 걸 찾아서 어쩌고... 하..
백준 문제를 풀다 보니 아는 것의 한계를 느꼈다...브론즈 레벨의 문제부터 풀고 있어서 간단한 파이썬 문법들로만 코드를 작성해도 문제가 없었지만문제 순위가 올라갈수록 내가 아는 얕은 지식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걸 느끼고앞으로 사용할 예정(?)인 친구들을 정리를 해두고 보려 한다! 왜? 여러 반복문 패턴을 활용해야 하냐면코드를 더 효율적으로 작성하기 위해서!아래에 예시와 설명을 간단하게 작성해 놨으니 슥슥 내리면서 봐보도록 하자. 1. for i in range(n):0부터 n-1까지의 정수를 순서대로 반복 range(5)는 0부터 4까지의 값을 생성, i는 이 값들을 순서대로 받아서 각 반복에서 출력 for i in range(5): print(i) #출력하면01234 2. for char ..
● 확률 밀도 함수 (PDF) 확률 밀도 함수(PDF)는 연속 확률 변수의 확률 분포를 설명하는 함수로, 이 함수는 확률 변수가 어떤 값 또는 구간에서 특정 값일 확률을 나타냅니다. PDF는 확률 변수의 분포를 묘사하고, 확률 변수가 어떤 값 주변에서 더 확률을 가질지 예측하는 데 사용됩니다. PDF는 보통 특정 구간에서 확률을 계산할 때 적분을 통해 사용됩니다. 이 함수는 연속 확률 변수에 적용되며, 연속적인 값을 가질 수 있는 확률 변수에서 사용됩니다. 예시 : PDF는 연속 확률 변수에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정규 분포(가우시안 분포)는 연속 확률 변수의 분포를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정규 분포의 PDF는 평균과 표준 편차를 통해 정의됩니다. 이 분포의 PDF를 통해 어떤 값 주변에서 확률을 계..
파이썬 리스트 슬라이싱은 데이터를 조작하고 분석하는데 필수적인 도구 중 하나입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리스트 내의 특정 부분을 선택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거나 가공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파이썬 리스트 슬라이싱에 대한 모든 측면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리스트 슬라이싱의 기본 구문 리스트 슬라이싱의 기본 구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리스트[시작인덱스:끝인덱스:간격] 시작인덱스 : 슬라이싱을 시작할 위치의 인덱스를 나타냅니다. 이 위치의 요소는 포함됩니다. 끝인덱스 : 슬라이싱을 종료할 위치의 인덱스를 나타냅니다. 이 위치의 요소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간격 (선택 사항) : 슬라이싱 범위 내에서 요소를 건너뛸 때 사용합니다. 기본값은 1이며, 요소를 모두 선택하려면 생략할 수 있습니다. ▶ 슬..
파이썬 리스트(List)는 여러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유용한 자료 구조입니다. 때때로 리스트에서 원소를 삭제해야 할 때가 있는데, 이 글에서는 두 가지 주요한 방법인 .pop() 메서드와 .remove() 메서드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pop() 메서드 .pop() 메서드는 리스트에서 지정한 인덱스의 원소를 삭제하고 해당 값을 반환합니다. 기본적인 구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리스트이름.pop(인덱스) 리스트이름 : 대상 리스트의 이름 인덱스 : 삭제할 원소의 위치를 가리키는 인덱스 ☆ 여기서 .pop() 이렇게 인덱스를 적지않고 그냥 사용하면, 리스트의 가장 끝 원소가 삭제됩니다 ☆ 예제를 통해 이해해봅시다. my_list = [10, 20, 30, 40, 50] # 인덱스 2의 원소(30)를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