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백준 10773번 제로 [구현]문제 핵심정수 K개가 순서대로 주어지고,숫자가 "0"이면 가장 최근에 적은 수를 지움아닌 경우 스택에 계속 적재마지막에 스택에 남은 수를 모두 더한 값이 정답 구현 방법최근에 입력된 수를 제거해야 하므로 "스택(stack)"이 적절하다고 판단숫자가 0일 경우 stack.pop()으로 최근 수 제거숫자가 0이 아니면 stack.append()로 입력값 저장모든 입력이 끝난 뒤 sum(stack)으로 결과 계산 [코드]# 리스트를 스택처럼 사용해서 풀었음import sysinput = sys.stdin.readlineK = int(input())stack = []for _ in range(K): num = int(input()) if num == 0: ..
[문제]백준 10811번 [접근 방법]공 바꾸기? 문제랑 거의 유사한 문제였다.바구니가 N개 있는데 각각의 바구니에 번호가 순서대로 적혀있음그 말은 바구니 순서 = 바구니 번호그리고 두 숫자를 M번 입력받는데역순으로 만들 범위를 정하기 위해 두 숫자를 입력받는다예를 들면 10개의 바구니가 있으면 1번 바구니부터 4번 바구니까지의 순서를 역순으로 만드는 것그러면 4 3 2 1 5 6 7 8 9 10 이렇게 된다. [제출한 코드]import sysinput = sys.stdinN, M = map(int, input.readline().split())basket = [0] * (N+1)basket = list(range(N+1))for _ in range(M): i , j = map(int, in..
[문제]백준 10813번 [접근 방법]바구니 개수 Ni번 바구니에 i번 공이 들어있음공을 M번 교환하는데 i번 바구니와 j번 바구니에 들어있는 공을 서로 교환함모든 교환이 끝난 뒤 1번 바구니부터 N번 바구니까지 들어있는 공의 번호를 순서대로 출력 일단 리스트 or 배열을 사용해서 푸는 문제임저 바구니에 들어있는 공을 교환하는 건basket[a], basket[b] = basket[b], basket[a]이런 식으로 하면 될 듯어렵지 않으니 바로 고고 [제출한 코드]import sysN, M = map(int, sys.stdin.readline().split())basket = [0] * (N+1)for i in range(1, N+1): basket[i] = ifor i in range(M..
정답 비율 51.553%인 문제!파이썬 사칙연산자에 대해서 알고 있니? 하고 물어보는 문제 같다.간략하게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덧셈(+): 두 수를 더함뺄셈(-): 첫 번째 수에서 두 번째 수를 뺌곱셈(*): 두 수를 곱함나눗셈(/): 첫 번째 수를 두 번째 수로 나눈다 (결과는 실수형)정수 나눗셈(//): 나눈 값의 정수 부분만 반환나머지(%): 나눈 후 남는 값을 반환거듭제곱(**): 첫 번째 수를 두 번째 수만큼 제곱 이제 문제를 살펴보면 세 수 A, B, C를 입력받아서 (2 ≤ A, B, C ≤ 10000)첫째 줄에 (A+B)%C, 둘째 줄에 ((A%C) + (B%C))%C셋째 줄에 (A×B)%C, 넷째 줄에 ((A%C) × (B%C))%C를 출력하면 된다고 한다. # 나머지 나머지~while..
정답 비율 50.681%인 문제!N을 입력받아서 구구단 N단을 출력하는 코드를 작성하면 되는 문제다N은 당연히 1 이상 9 이하. while True: N = int(input()) if 1 while 문으로 N의 입력 조건을 맞추고반복문으로 i를 1~9까지 범위를 설정하고f-string을 이용해서 바로 출력할 수 있게끔 했다!처음에는 노가다 버전으로 생각을 했지만어떻게 하면 더 깔끔하게 작성할 수 있을까? 생각하다가 저렇게 변경했다!이것 또한 프로그래밍 입문할 때 많이 시키는 예제라서 익숙했다.
정답률 35.516%인 문제!사실 처음 제출했다가 틀렸다가... 두 번째 제출에서 맞춰버린 ㅠ\ /\ ) ( ')( / ) \(__)|위와 같은 형태로 출력하게 되게끔 만들면 되는 건데raw string 사용할 수 있냐? 이런 의도라고 생각해서 사용했다가 틀렸다정말 간단하게 역슬래시 \ 를 출력하려면 \\ 이렇게 쓰면 된다! # 고양이(?)를 출력해보자. 사실 raw string 사용했다가 틀렸다...print("\\ /\\")print(" ) ( ')")print("( / )")print(" \(__)|") 고양이 말고 강아지? 출력하는 문제에서도 이와 비슷하게 해결했던 것 같다.알면 너무 쉬운 문제~